Phase 1 — 엔진 기초 및 제작 환경 세팅
•
언리얼 엔진 vs 유니티 비교, 장단점 이해
•
계정 등록, 설치, 프로젝트 생성
•
언리얼 에디터 기본 UI & 뷰포트 조작
•
레벨, 액터, 머티리얼, 라이트, 카메라 기초
•
마켓플레이스 & Quixel Bridge 무료 에셋 활용
•
기본 맵 구성 및 저장
Phase 2 — 목업(Prototype) 제작 (블루프린트)
•
UI 위젯 기초 (타이머, 버튼, 상태 표시)
•
트리거 & 인터랙션 (클릭, 탐색, 사용)
•
캐릭터 이동 & 회전
•
나이아가라 파티클 기초(빛, 먼지, 분위기 효과)
•
시퀀서로 카메라/환경 변화 연출
•
오디오 시스템 (BGM, 앰비언스, 효과음)
CHAPTER 6 — 블루프린트 심화
•
6.1 블루프린트를 사용합시다!
◦
블루프린트 개념, 레벨 준비, 카메라 & 오브젝트 배치
◦
레벨 블루프린트 생성 & 이벤트 처리
◦
시작 시 UI 메시지 표시, 노드 정리, 디버그 활용
•
6.2 액터 조작하기
◦
틱 이벤트 기반 움직임
◦
Delta Seconds 활용(프레임 독립)
◦
입력 처리(마우스, 키보드)
◦
변수 & 분기 활용
◦
카메라 이동·회전 제어
•
6.3 HUD와 위젯
◦
UMG 위젯 제작, 텍스트 바인딩
◦
UI 실시간 갱신
•
6.4 트리거 다루기
◦
Sphere 트리거 액터
◦
OnActorBeginOverlap 이벤트
◦
트리거별 상호작용 구현
CHAPTER 7 — 본격 게임 개발
•
7.1 템플릿 프로젝트 이용
◦
기본 템플릿 분석, 레벨 구성
◦
캐릭터, 카메라, 시작 지점 설정
◦
환경 구성(폴리지, 페인트 툴)
•
7.2 물리 엔진
◦
물리 시뮬레이션, 콜리전 설정
◦
AddForce 활용 상호작용 오브젝트 구현
•
7.3 트리거와 충돌
◦
충돌 처리, 액터 제거
◦
다수 오브젝트 배치 및 이벤트 구현
•
7.4 게임 구조 정리
◦
함수화, HUD 상태 표시
◦
게임 종료 조건 처리
◦
콘텐츠 바인딩 UI 자동 갱신
◦
개선 과제 제시
Phase 3 — C++ 전환 및 구조 설계
•
블루프린트 → C++ 클래스 변환
•
GameMode / GameInstance / PlayerController / Pawn 설계
•
DataAsset & DataTable(CSV, JSON) 활용
◦
오브젝트·인테리어 데이터
◦
사운드 트랙 정보
◦
상호작용 가능한 객체 목록
•
이벤트 & 델리게이트 패턴
•
UI-게임플레이 연동 (C++ + UMG)
Phase 4 — 목표 게임 핵심 기능 구현
•
인테리어 꾸미기 시스템
◦
배치/회전/삭제, 슬롯 저장
◦
DataTable 기반 가구 데이터 관리
•
시간 & 날씨 변화
◦
실시간/가속 시계
◦
날씨 전환(맑음, 비, 눈) + 파티클 + 라이트 변경
•
캐릭터 꾸미기
◦
스킨, 액세서리 교체
◦
DataAsset로 아이템 데이터 관리
•
사운드 플레이어
◦
재생/정지/다음곡, 플레이리스트
◦
JSON 기반 곡 데이터 관리
•
상호작용 포인트
◦
오브젝트 클릭 시 이벤트 실행
◦
애니메이션·사운드 연동
•
사진 모드
◦
카메라 제어, 필터, UI 숨기기
•
세이브/로드 시스템
◦
JSON 기반 프로필 저장
◦
인테리어 상태, 캐릭터 스킨, 환경 저장
Phase 5 — 최적화 및 출시 준비
•
오브젝트 풀링
•
레벨 스트리밍
•
LOD, Nanite, Virtual Shadow Map 적용
•
UI/UX 개선 (키보드/패드 대응)
•
아이콘, 썸네일, 트레일러 제작
•
스팀 빌드·테스트·출시
CSV / JSON / DataAsset 설계 예시
파일명 | 내용 | 사용처 |
furniture_data.csv | 가구 ID, 이름, 메쉬, 가격, 배치 가능 여부 | 인테리어 시스템 |
weather_rules.json | 날씨 타입, 지속 시간, 파티클 경로, 라이트 컬러 | 시간/날씨 시스템 |
music_list.json | 곡 제목, 아티스트, 파일 경로, 장르 | 사운드 플레이어 |
interact_points.csv | 위치, 상호작용 타입, 트리거 애니메이션 | 상호작용 포인트 |
avatar_items.json | 의상, 액세서리, 메쉬 경로 | 캐릭터 꾸미기 |
핵심 학습 포인트
•
Data Driven Architecture: 콘텐츠(가구, 날씨, 음악, 의상)를 데이터 파일로 관리
•
블루프린트 → C++ 전환: 빠른 프로토타입, 안정적 코어 시스템
•
UI/게임플레이 연계: 멀티플랫폼 대응, 이벤트 처리
•
최적화: 안정적 프레임 유지
•
출시 프로세스: 스팀 업로드부터 업데이트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