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교육 철학
📝

학위 논문 작성법

By 성균관대학교 원병묵 교수

Notice : ‘박사’ 학위논문에 기준이 맞추어져 있음

ABC writing skills for thesis
A = After completing research
하나의 결론에 도달하는 시점인가를 생각 할 것
어느정도 연구가 마무리 된 시점
즉, 이게 되어야 디펜스의 근거가 된다
B = Based on well-organized figures and tables for topics, and
글의 소재가 되는 figure와 table를 미리 정리 하는 것이 좋다
즉, 컨셉이 되는 figure와 table를 정리해서 하나의 스토리를 짤 수 있어야 함
일목요연하게
C = Compose a thesis (i.e., manuscript) from a title to a conclusion logically
논리적이고 유기적으로 작성
i.e., A→ B→ C A&B for research and C for writing
어떤 학술논문이던지, 학위논문이던지 아래의 구조를 따른다
제목
제목은 매우 중요하다. 평생 따라다닌다. 이력서를 작성하거나, 뭘 하던지 학위논문의 제목은 따라다닌다.
제목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서 장래가 달라지기도 한다. 취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초록
꽤 길다. 3-4페이지 정도?
서론
정말 자세히 써야한다. 다만, 학술지에 보내는 논문과는 결이 조금 다르다.
본론 (결과 + 논의 + 방법)
각각의 챕터는 학술지에 보내는 논문 양식과 비슷하다.
결론
연구 전망이 들어가면 한 챕터가 된다
Reference
Acknowledgements
Appendix
학위논문 형식 논문은 연구를 통해 자신의 학문을 입증하는 연구 결과물입니다. 논문의 구조는 학술지 논문이든 학위논문이든 비슷합니다. 모두 제목, 저자, 초록, 서론, 본론, 결론, 레퍼런스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본문 각 챕터는 학술지 논문과 동일 학위논문은 본론이 여러 챕터로 구성됨. 학위논문은 대부분 다수의 주제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경우가 많음. 학위기간동안 연구 주제를 하나씩 완결하여 (i.e., 학술지에 출판하여), 하나의 큰 주제를 완성하는 것임 학위논문은 본론의 각 챕터가 하나의 학술지 논문과 같음. 그러니, 연구기간 동안 여러 편의 학술지 논문을 발표하는 것이 좋음. 본론의 각 챕터에 들어갈 수 있는 내용은 하나의 학위 제목으로 묶일 수 있어야 함. Tip : 포트폴리오 같이 구성이 되어야 함. 포트폴리오가 잘 구성이 되면 연구가 잘 진행이 되고 학위논문 작성을 통해 학위를 받을 수 있음
좋은 모델을 찾을 것 스탠포드는 학위 논문 전문을 자유롭게 볼 수 있음. 관련 분야의 논문 견본을 찾아보면 좋다.
논문 작성 타임라인 논문을 작성하기 위한 타임라인을 계획할 것 제목 → 초록 → 문헌과 서론 → 본문 1 → 본문 2 → 본문 3 → 본문 4 → 결론 → 나머지 → 제목 언제까지 완성할 것인지 기한을 정할것. 보통, 2주에서 6주정도 계획함. 이 기간보다 시간이 더 걸린다면, 뭔가 문제가 있는 것임 다 작성한 이후,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논문의 제목이 타당한가 고려 우리는 마감효과라는게 있다. 데드라인이 있으면 효과적임
익숙한 논문 작성 툴을 사용할 것 본인이 가장 편한 논문 작성 툴이 있을 것. 우선 가장 익숙한 툴을 사용하여 내용을 구성한 후에 나중에 포맷에 맞게 편집하는 것이 제일 이상적.
학위 논문 포맷으로 편집 학교나 연구소에서 허락하는 학위 논문 포맷이 있음. 이것을 확인하여 마지막 단계에서 형식에 맞게 편집. 학교에서 어느정도 재량을 두기 때문에, 저자 본인이 에디터 역할을 해야 함.
최종본, 교정본, 완성본, 출판본, … 학위 논문은 에디터가 따로 없음. 심사위원이 있지만, 에디터는 없다. 본인이 초고를 작성하고 본인이 최종본을 만들고 본인이 교정본을 검토하고 본인이 완성본을 만들고 마지막에 출판본을 인쇄함. 최대한 집중하여 오류가 없도록 해야함. 제목을 최대한 심플하게 만들 것. (e.g., ver1 / draft1 등)
도움을 요청할 것 학위논문 작성에는 많은 도움이 필요할 수 있음. 전체 내용 구성, 세부 내용 작성, 포맷 편집, 감사의 글(선택), 하드 or 소프트 출판 등 결정할 사항이 많음. 주변의 지지를 이끌어 낼 것.
최종 검토는 지도교수를 통해 출판에 들어가기에 앞서 학위 논문의 완성본을 최종 검토 받아야 함. 지도교수에게 마지막 확인을 요청할 것. 본인의 책임이 제일 크지만, 지도교수의 책임도 있음 정중하고 끈질기게 요청 할 것. 동료로서 정중하게.
연구윤리 : 연구 부정 행위 당연히 하면 안된다. 몇가지 케이스가 있음
위조 : 존재하지 않는 연구 원자료 또는 연구 자료, 연구 결과 등을 허위로 만들거나 기록 또는 보고하는 행위
변조 : 연구 재료/장비/과정 등을 인위적으로 조작하거나 연구 원자료 또는 연구 자료를 임의로 변형 및 삭제함으로써 연구 내용 또는 결과를 왜곡하는 행위
표절 : 일반적 지식이 아닌 타인의 독창적인 아이디어 또는 창작물을 적절한 출처 표시 없이 활용함으로써, 제 3자에게 자신의 창작물인 것 처럼 인식하게 하는 행위
부당 중복 게재 : 연구자가 자신의 이전 연구결과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저작물을 출처표시 없이 게재한 후, 연구비를 수령하거나 별도의 연구 업적으로 인정받는 경우 등 부당한 이익을 얻는 행위
표절검사 소프트웨어로 다시 검사할 것
영어논문 작성 툴
Grammarly
Writefull
Quillb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