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교육 철학
🔬

저널/연구 영향력 지표 가이드

Contents
출처 : 세종대학교 도서관 (https://sejong-kr.libguides.com/c.php?g=930501)

1. Journal Impact Factor (JIF)

Journal Impact Factor(JIF)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저널 영향력 지표로, 저널의 논문 수와 피인용 횟수를 이용하여 계산
동일 주제 분야에서 저널의 상대적 중요성을 비교, 평가하거나 논문을 투고할 저널 선정시 유용한 지수
해당 저널에서 지난 2년간 발행된 논문이 해당 년도에 인용된 수의 평균값
Journal Impact Factor 계산 방법 예시
Journal Impact Factor(JIF)는 최소 3년 이상 연속해서 Web of Science 등재된 경우 산출 가능
창간 일로부터 3년 미만의 저널이거나 SCIE/SSCI 등재 저널이 아닌 경우 Journal Impact Factor(JIF)가 없을 수 있음
매년 저널을 평가해서 등재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등재 탈락된 연도의 경우 Journal Impact Factor(JIF)를 제공하지 않음

2. Journal Citation Indicator

JCI는 IF가 아니며, JCR에서 제공되더라도 SCI급 학술지가 아닐 수 있음
Journal Citation Indicator(JCI)는 Journal Impact Factor(JIF)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2020년부터 JCR에서 새로 제공되는 학술지 인용 지수
Category Normalized Citation Impact(CNCI)는 Citation Impact(논문 당 평균 피인용 수)를 연구분야, 출판연도, 논문 타입으로 정규화한 값 → 이 값을 최근 3년치의 평균으로 산출한 값이 Journal Citation Indicator
Impact Factor가 제공되는 SCIE, SSCI는 물론, AHCI와 ESCI(등재후보지)도 포함
주제분야에 따른 평균 인용수의 차이를 보정. IF로는 서로 다른 주제분야를 직접 비교할 수 없으나, JCI는 가능
1.0을 평균으로 하는 상대적 지수입니다. ex) 1.5는 평균 대비 1.5배 인용됨을 의미

3. Eigenfactor Score

Eigenfactor Score는 Googel Pagerank 알고리즘을 차용하여, 인용 네트워크 분석한 지표 → 영향력이 큰 학술지에 인용되면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고, IF와는 달리 5년치의 논문을 대상으로 자기인용을 제외하여 계산
Journal Impact Factor(JIF)를 보완할 수 있는 저널 영향력 지수이며, JCR 등재지에 대해서 분석 → 즉, Journal Impact Factor(JIF)가 발표되는 저널이라면 Eigenfactor Score도 확인 가능
Eigenfactor Score는 해당 저널에서 지난 5년간(Year n-5 ~ n-1) 발행된 논문이 다음 5년 동안 (Year n-4 ~ n)에 인용된 수에서 자기 인용을 제외하고 저널 간의 영향력 지수를 가중치로 적용하여 산출 → JCR에 등록된 저널의 Eigenfactor Score의 총합은 100. 해당 저널의 영향력이 몇 점인지 파악하는데 유용
Journal Impact Factor와 다른 점
인용 저널 영향력에 따라 가중치 부여
분야별 인용 패턴 차이를 보정
최근 5년 동안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계산
자기 인용을 불포함

4. Article Influence Score

Eigen Factor(EF)를 기반으로 평균이 1.0이 되도록 비율화한 값입니다. AI 34.0은 평균보다 34배 더 영향력이 큰 학술지임을 의미
해당 저널에서 발행된 후 5년 동안의 논문들에 대한 상대적인 평균 영향력 값
전체 논문(5년간)의 평균 AI를 1.00으로 1보다 큰 값은 전체 논문의 평균 영향력보다 높고, 1보다 작은 값은 전체 논문의 평균 영향력보다 낮음을 의미

5. Immediacy Index

저널이 출판되고 얼마만큼 빨리 인용되는지를 의미하는 지수
창간한지 2년 미만의 저널, 첨단분야 저널 비교에 유용
Immediacy Index 계산법

6. Cite Score

SCOPUS 학술지의 피인용 지수를 바탕으로 한 저널 영향력 지표
해당 저널에서 지난 4년간 인용된 횟수를 같은 기간 출판된 문헌의 수로 나눈 지수
논문은 article, reviews, conference papers, book chapter, data paper 를 대상으로 하고, Article in Press는 지수 산출 시 제외
1년에 한번씩 발행되는 공식적인 지수 외에 매달 업데이트 되는 지수(CiteScore Tracker)를 통해 저널 인용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음
Cite Score 계산법

7. SCImago Journal Rank (SJR)

저널의 명성에 따른 영향력 지수. 최근 3년간의 인용 데이터와 가중치에 따라 산출
'모든 인용은 동등하지 않다'라는 전제를 기반으로 구글의 Page Rank 알고리즘의 영향을 받아 유사한 방법을 사용 (평균 = 1 , 1보다 높으면 평균 이상)
명성이 높고 인용도 지수가 높은 학술지에 인용되는 것을 더 높이 평가
SCI급 저널에 등재되지 않은 Open Access 학술지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

8. Source Normalized Impact per Paper (SNIP)

저널 주제에 따른 영향력 지수. 저널 주제 분야별 인용 패턴을 고려하여 산출
해당 연도의 Impact per Publication과 주제분야의 인용 잠재력(Citation Potential)간의 비율로 계산 (평균 = 1, 1보다 높으면 주제 분야에서 평균 이상)
Impact per Publication (IPP) : 최근 3년간 발표된 논문의 그 해에 인용된 비율을 동 3년간 발표된 논문 수로 나눈 것으로 주제분야 보정을 하지 않는 값. SNIP을 개발한 Leiden 대학 CWTS에서 개발
인용잠재력 : 저널이 속한 주제 분야의 평균적인 인용 수준

9. h-index

‘연구자가 발표한 모든 논문 중에서 최소 h개의 논문은 h번 이상의 인용을 받음을 의미
논문별 피인용 횟수를 바탕으로 산출하는 연구자 개인의 연구 영향력을 확인 할 수 있음
연구자뿐만 아니라 연구단체의 연구성과 측정도구로도 활용
많은 논문을 발표했지만 피인용수가 적은 연구자와 피인용수가 높지만 발표 논문수가 적은 연구자는 h-index가 낮게 나오게 됨
h-index 계산
연구자의 발표 논문을 피인용 횟수가 많은 순으로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순위를 매긴 후 순위와 피인용 횟수가 같아지거나 순위가 피인용 횟수보다 작은 최대값이 ‘h’
예시 순위와 피인용 횟수가 같아지거나 순위가 피인용 횟수보다 작은 최대값이 ‘h’. 따라서, 아래 표의 연구자 h-index는 5
논문
A
B
C
D
E
F
순위
1
2
3
4
5
6
피인용횟수
40
38
20
10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