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질문이 아닌 명령이라고 생각 할 것
일반적으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개념이 아니라, 명령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개념임. 즉, 질문할 때는 수평적으로 사람에게 질문하듯이 하는 것이 아니라, AI 비서를 쓰는 것과 같은 수직적인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
예를 들어, 누구인 척 하라는 명령어가 상당히 효과가 좋음. (예 : I want you to ACT as a ㅁㅁㅁ in ㅇㅇㅇ) 지금은 막혔지만, DAN 이라는 프롬프트가 유행했었음. Do Anything Now라고 최면을 거는 방식의 프롬프트였음. 시스템 상으로 막혀있는 명령어들을 이를 통하여 봉인을 해제할 수 있었음. DAN 명령어가 작동한다는 점에서도 ChatGPT가 명령어의 방식으로 동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2. 영어로 쓰는 편이 더 빠르고, 정확하고함
영어를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다면, 영어로 명령을 작성 할 것. 문법은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됨
3. 2021년까지의 정보만 알고 있음
ChatGPT는 2021년까지의 정보만 알고 있음. 따라서 최신 정보나 미래에 대한 예측을 요구하는 질문에는 적합하지 않음. 만약 2021년 이후에 존재하는 것을 질문했는데 답변을 했다면 거짓말을 했을 가능성이 높음. 최신 정보를 물어보고 싶다면 명령에 정보를 자세하게 넣어주어야 함
4. 맹신하지 말 것. 거짓말을 잘한다
대표적으로 세종대왕 맥북 던짐 사건 같이 그럴싸한 거짓말을 잘 함. 따라서, ChatGPT가 제공하는 대답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고, 이 내용이 맞는지 검증하는 과정을 따로 거쳐야 탈이 없음
5. 보안이 필요한 정보는 주의함
본인이 작성한 명령의 내용이 외부에 발설될 일은 아마도 없어야 하겠지만, 그래도 언제나 뜻하지 않은 보안에 대한 잠재적 리스크는 존재함. 따라서, 보안이 필요한 민감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주의하는 것이 필요